본문 바로가기

질병

턱밑 통증 침샘염 증상이 나타난다면



침은 입안 귀밑이나 턱밑, 혀밑의 설하선 그 외의 많은 작은 침샘에서 나오는데, 이런 침샘에 염증이 생기면 밥 먹을 때 통증이 있거나 붓고 열이 나기도 합니다.

 

침샘염이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하게 있는데, 발생요인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려지기도 합니다. 먼저 바이러스 원인일 경우에는 볼거리라고 불리며, 유행성이기 때문에 봄, 가을에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화농성 침샘염 증상이라고 불리는 것은세균 침입이나 스트레스가 원인인데요. 고름을 동반한 염증이며 수술이나 만성 질환에 의한 탈수로 발생하거나 혈액을 통해 이동하는 균에 의해 발생하기도 해 주의해야합니다.

 

 

 


침샘염은 말 그대로 침샘에 세균이 침입하여 염증을 일으킨 질환입니다. 이러한 침샘염 증상으로는 염증성 질환이기에 턱 밑 통증을 유발하며, 이후 턱 밑 멍울같이 부종이 나타난 후 심할 경우 전신에 발열 및 오한, 전신 쇠약감이 있습니다. 

 

또한 턱밑 통증과 함께 감기몸살 증상이 있다고 한다면, 침샘염을 의심하여야 하겠습니다. 또한 침샘염 증상은 식사 직 후 심해지기에 증상이 나타난다면 가까운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셔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턱밑 통증 침샘염 증상이 생기면 그 원인에 따라 치료합니다. 감염 혹은 탈수가 원인이라면 침샘의 타액 분비를 원활히 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하며, 타석이 원인인 경우에는 침샘의 분비가 늘어나면 증상이 악화할 수 있으므로 수분 섭취를 제한합니다. 

 

 


침샘염 증상의 진단은 염증인 관계로 혈액검사를 1차적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혈액 내의 염증수치를 판단 기준으로 하며, 통증 부위와 연관 지어 침샘염을 진단하게 되며, 균 배양 검사 등을 시행하여 원인균에 대한 항생제 치료로 해당 침샘염 증상 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또한 침샘염 증상이 없을 때에는 침의 흐름이 유지되도록 충분하게 수분을 섭취합니다. 구강 내의 감염 병소가 침샘관을 타고 침샘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양치, 가글 등으로 구강 위생을 철저히 해야합니다.